韓-핵추진-잠수함-5년-후-개발-완료-가능-소형원자로-농축기술-실증-선행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5-10-31 02:27 조회 5 댓글 0본문
미국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 모습. 한화오션 제공
원자력 전문가 “핵심기술 상용화·실증 거치면 확보 가능”
소형원자로 독자 개발 후 표준설계인가 획득...신속한 실증 필요
우라늄농축 기술, 美 동의하면 가능..원자력협정 개정 등 뒷받침돼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가운데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향후 5년 후 ‘K-핵추진 잠수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핵추진 잠수함 개발에는 소형 원자로와 농축 우라늄 연료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두 개의 핵심 기술 개발을 2000년대부터 착수해 미국 측 동의만 있다면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을 단기간 내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독자 개발한 소형원자로(SMART)는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해 해외 실증을 추진하고 있어 핵추진 잠수함 개발이 본격화되면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기술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기술 실증을 빠르게 추진한다면 우리 기술로 개발한 핵추진 잠수함을 빠르면 5년, 늦어도 10년 이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혀 이재명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했다.
이 대통령이 제안한 핵추진 잠수함은 핵무기를 싣는 핵잠수함이 아닌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운용되는 잠수함을 뜻하는 것으로, 좀 더 정확히 표현하면 원자력 추진 잠수함이 더 적합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함에 따라 언제쯤 개발을 마치고 상용화될 지에 세간의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핵연료 추진 잠수함의 핵심 기술인 소형원자로의 경우 우리나라는 원자로 설계가 안전기준을 충족하는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할 정도로 앞선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2년 독자 개발한 소형원자로 ‘SMART’의 표준설계인가를 받아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건설해 실증하는 사업을 수년째 추진하고 있다.
SMART는 발전 용량이 기존 대형 원전의 10분의 1 수준으로, 용기 하나에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냉각재 펌프 등이 모두 포함돼 있어 소형모듈원자로(SMR) 중 가장 빠른 실증이 가능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학회장(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원자력연은 SMART라는 소형원자로 기술을 해외 실증에 나설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핵추진 잠수함에 SMART를 탑재하기 위한 최적화된 설계 작업과 실증을 통해 빠르게 성능과 안전성 등을 검증할 수 있다면 5년 이후에는 핵추진 잠수함 보유국이 될 것”이라고 봤다.
다만 농축 우라늄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양국 간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 학회장은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은 미국의 동의만 있으면 언제든 가능한데, 이에 대한 미국의 의중을 알 수 없고, 미국 의회나 법규 등 산적한 과제들이 많아 쉽지 않다”면서 “국제사회에서 가격이 비싸지고 있는 우라늄 확보와 포화 상태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위해서라도 20% 이상의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도 우리 기술로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원자력연은 미국과 사용후핵연료 처리 관련 연구개발을 10년 전부터 이어오고 있어 재처리 기술 확보에도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춘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초빙전문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겠다고 언급하면서 핵연료 장입과 건조 장소는 우리가 고민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빠르게 핵추진 잠수함을 추진하려면 소형원자로 실증과 연료인 농축 우라늄을 자체 확보할 건지, 아니면 미국으로부터 들여올 건지를 명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 내 원활한 절차를 밟기 위한 양국 정부 간 공동협의체와 같은 상시 소통채널을 신속하게 두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잠수함 개발 역량과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과 협력이 제대로 진행되면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기술적으로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다만, 잠수함 건조시설이 없고 인건비가 굉장히 비싸고 인력이 없는 미국 조선소에서 우리의 잠수함을 건조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93년 김영삼 정부에서 극비리에 시작된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다시 본격화됐다가 중단됐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미국의 협조를 얻지 못해 시작하지 못한 바 있다.
        
        
            원자력 전문가 “핵심기술 상용화·실증 거치면 확보 가능”
소형원자로 독자 개발 후 표준설계인가 획득...신속한 실증 필요
우라늄농축 기술, 美 동의하면 가능..원자력협정 개정 등 뒷받침돼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가운데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향후 5년 후 ‘K-핵추진 잠수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핵추진 잠수함 개발에는 소형 원자로와 농축 우라늄 연료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두 개의 핵심 기술 개발을 2000년대부터 착수해 미국 측 동의만 있다면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을 단기간 내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독자 개발한 소형원자로(SMART)는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해 해외 실증을 추진하고 있어 핵추진 잠수함 개발이 본격화되면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기술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기술 실증을 빠르게 추진한다면 우리 기술로 개발한 핵추진 잠수함을 빠르면 5년, 늦어도 10년 이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혀 이재명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했다.
이 대통령이 제안한 핵추진 잠수함은 핵무기를 싣는 핵잠수함이 아닌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운용되는 잠수함을 뜻하는 것으로, 좀 더 정확히 표현하면 원자력 추진 잠수함이 더 적합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함에 따라 언제쯤 개발을 마치고 상용화될 지에 세간의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핵연료 추진 잠수함의 핵심 기술인 소형원자로의 경우 우리나라는 원자로 설계가 안전기준을 충족하는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할 정도로 앞선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2년 독자 개발한 소형원자로 ‘SMART’의 표준설계인가를 받아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건설해 실증하는 사업을 수년째 추진하고 있다.
SMART는 발전 용량이 기존 대형 원전의 10분의 1 수준으로, 용기 하나에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냉각재 펌프 등이 모두 포함돼 있어 소형모듈원자로(SMR) 중 가장 빠른 실증이 가능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학회장(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원자력연은 SMART라는 소형원자로 기술을 해외 실증에 나설 정도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핵추진 잠수함에 SMART를 탑재하기 위한 최적화된 설계 작업과 실증을 통해 빠르게 성능과 안전성 등을 검증할 수 있다면 5년 이후에는 핵추진 잠수함 보유국이 될 것”이라고 봤다.
다만 농축 우라늄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양국 간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 학회장은 “한미 원자력협정에 따라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은 미국의 동의만 있으면 언제든 가능한데, 이에 대한 미국의 의중을 알 수 없고, 미국 의회나 법규 등 산적한 과제들이 많아 쉽지 않다”면서 “국제사회에서 가격이 비싸지고 있는 우라늄 확보와 포화 상태에 있는 사용후핵연료 처리를 위해서라도 20% 이상의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도 우리 기술로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원자력연은 미국과 사용후핵연료 처리 관련 연구개발을 10년 전부터 이어오고 있어 재처리 기술 확보에도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춘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초빙전문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겠다고 언급하면서 핵연료 장입과 건조 장소는 우리가 고민하지 않고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빠르게 핵추진 잠수함을 추진하려면 소형원자로 실증과 연료인 농축 우라늄을 자체 확보할 건지, 아니면 미국으로부터 들여올 건지를 명확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 내 원활한 절차를 밟기 위한 양국 정부 간 공동협의체와 같은 상시 소통채널을 신속하게 두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잠수함 개발 역량과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과 협력이 제대로 진행되면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기술적으로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다만, 잠수함 건조시설이 없고 인건비가 굉장히 비싸고 인력이 없는 미국 조선소에서 우리의 잠수함을 건조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핵추진 잠수함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993년 김영삼 정부에서 극비리에 시작된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다시 본격화됐다가 중단됐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미국의 협조를 얻지 못해 시작하지 못한 바 있다.
첨부파일
- 미국 필라델피아의 필리조선소 모습. 한화오션 제공.jfif (64.0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10-31 02:27:18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